ADAS 안전 기능 총정리: 필수만 똑똑하게 고르는 법 🛡️

ADAS 안전 기능의 종류와 장단점

ADAS 안전 기능 총정리: 필수만 똑똑하게 고르는 법 🛡️

핵심
장거리·정체가 잦은 환경이면 ACC(어댑티브 크루즈)차로 중앙 유지를, 도심 주행이 많다면 AEB(자동긴급제동)후측방 경고를 우선 고려하세요.

표 1) 주요 ADAS 기능과 체감 효과

기능설명장점주의
AEB전방충돌 위험 시 제동저속·도심 사고 감소악천후 인식 저하
ACC앞차와 거리 유지장거리 피로 감소급차선변경 대응 한계
LKA/LFA차로 유지/중앙차선이 선명할 때 강점공사구간 성능 저하
BSD/RCTA후측방·후교차 경고주차장 안전↑센서 오염 시 오류
TSR표지판 인식제한속도 안내표지 부정확 시 혼선

표 2) 자동화 레벨 개념(운전자 책임 범위)

레벨핵심운전자 역할예시
L0경고 중심전부경고음
L1단일 보조전부ACC 또는 LKA
L2복합 보조항상 개입ACC+차로중앙
L2+지도/학습 기반항상 개입고속도로 보조
주의 : ADAS는 보조 기능입니다. 항상 핸들·주행 주시가 필수이며, 공사구간·폭우·강설·역광에서는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실사용 팁

  • 센서 영역(라이다/레이다/카메라) 청결 유지
  • 지도·소프트웨어 정기 업데이트
  • 개입 기준(핸들 토크·시선 감지) 파악

관련 태그: ADAS, 자동긴급제동, 차로유지, 어댑티브크루즈, 운전자보조, 안전운전, 반자율주행

댓글 쓰기

0 댓글

신고하기

프로필

이미지alt태그 입력

HTML/JavaScri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