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눈에 보기
SDV는 차량 기능이 소프트웨어로 정의·배포되는 구조입니다. 하드웨어는 표준화·모듈화되고, 기능은 OTA로 지속 개선됩니다. 결과적으로 가치 하락은 완화되고 서비스형 수익이 커집니다.
SDV는 차량 기능이 소프트웨어로 정의·배포되는 구조입니다. 하드웨어는 표준화·모듈화되고, 기능은 OTA로 지속 개선됩니다. 결과적으로 가치 하락은 완화되고 서비스형 수익이 커집니다.
예전엔 차량 기능이 출고 시점에 고정됐지만, 이제는 카메라·라이다·ECU가 통합된 컴퓨팅 플랫폼 위에서 소프트웨어로 기능을 열고 닫습니다. 지도 데이터·안전 알고리즘·인포테인먼트 앱이 원격 업데이트(OTA)로 주기적으로 개선되죠.
표 1) 전통형 차량 vs SDV 구조 비교
| 항목 | 전통형 | SDV | 체감 효과 |
|---|---|---|---|
| ECU 구성 | 도메인별 다수 | 고성능 통합형 | 배선 단순화·무게↓ |
| 기능 업데이트 | 서비스센터 | OTA 원격 | 다운타임↓, 최신 기능 |
| 옵션 정책 | 출고 고정 | 구독/온디맨드 | 필요 기능만 결제 |
| 보안 | 폐쇄형 | 지속 패치 | 취약점 대응 속도↑ |
표 2) SDV 핵심 역량 로드맵(개념)
| 연차 | 주요 과제 | 지표 | 구매자 이점 |
|---|---|---|---|
| 1년 차 | OTA 안정화 | 성공률 99%+ | 업데이트 불안 해소 |
| 2~3년 | ADAS 개선 | 오탐률 ↓ | 차선유지·ACC 고도화 |
| 3~5년 | 앱 에코시스템 | 제3자 앱 확대 | 콘텐츠 다양화 |
| 5년+ | 서비스형 기능 | 구독 ARPU ↑ | 필요 시 월별 결제 |
TIP : OTA 주기는 보통 수 주~수 개월 단위로 이뤄집니다.
업데이트 시 주행 가능/불가 조건과 배터리 잔량 요구치를 미리 확인하세요.
구매 전 점검 포인트
- 통합칩/플랫폼 공급사, 장기 업데이트 지원 약속
- 커넥티비티 요금(데이터/맵 구독) 구조
- 보안 인증·침투 테스트 이력
- 서비스센터의 소프트웨어 역량
관련 태그: SDV, 소프트웨어정의차량, OTA, 자동차구독, 인포테인먼트, 차량보안, 차량OS, 전장플랫폼
0 댓글